K뷰티의 글로벌 성공 스토리로 자리 잡은 **‘마카롱’**이 인도에서 누적 고객 수 100만 명을 돌파하며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019년 인도 시장에 진출한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마카롱은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입니다.
마카롱, 인도 시장에서 K뷰티 대표 플랫폼으로 성장
마카롱은 **블리몽키즈(대표 유승완)**가 운영하는 인도 K뷰티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코스알엑스, 조선미녀 등 380여 개 브랜드와 1만8천여 개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누적 고객 수: 100만 명 돌파 (2023년 11월 기준).
전년 대비 성장률: 약 53% 증가.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20만 명 이상.
이러한 성장은 K뷰티에 대한 인도 소비자들의 관심 확대와 더불어 마카롱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기술 덕분입니다.
K뷰티 인기 카테고리 및 판매 성과
마카롱 내 주요 카테고리의 판매량은 놀라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스킨케어 카테고리 매출: 전년 대비 73% 증가.
클렌징폼, 선케어 등: 두 자릿수 성장률 기록.
3분기 뷰티 제품 판매량: 평균 200% 증가.
이처럼 다양한 뷰티 제품이 인기몰이를 하며, K뷰티의 영향력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성장의 비결: AI 기반 위생허가 시스템
마카롱의 성공 뒤에는 AI 기술 기반의 위생허가 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기존 6개월 이상 소요되던 위생허가 인증 기간을 45일 이하로 단축.
국내 브랜드들이 인도 시장에 더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
이를 통해 시즈널 뷰티 상품도 원활히 공급 가능.
이 시스템은 K뷰티의 인도 진출 장벽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마카롱의 현지화 전략
마카롱은 소비자와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신제품 체험단 운영: 소비자들이 직접 K뷰티 제품을 경험할 기회 제공.
커뮤니티와 뷰티 클래스: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며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
이러한 노력은 인도 시장에서 K뷰티 브랜드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확장 계획: 중동 6개국 진출
마카롱은 2024년 1월, 중동 6개국으로 진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중동 진출 목적: 더 다양한 국가의 소비자들에게 K뷰티 제품을 소개하고,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자리 잡기 위함.
전략: 현지화된 서비스와 AI 기술 활용으로 시장 적응력을 높이며, K뷰티의 성공적인 확장을 목표로 합니다.
유승완 대표의 포부
유승완 블리몽키즈 대표는 “100만 고객 달성은 현지화 전략과 신규 브랜드 계약 확대를 통해 이뤄낸 성과”라며,
“내년에는 더 많은 국가에서 K뷰티를 알리며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카롱의 성공 요약
현지화 전략: 소비자와의 소통 강화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AI 기반 기술: 위생허가 기간 단축으로 시장 접근성 향상.
카테고리 확장: 다양한 K뷰티 제품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 증대.
글로벌 확장: 중동 진출을 통해 K뷰티의 영향력 강화.
마카롱의 성공은 단순한 이커머스 플랫폼을 넘어 K뷰티를 세계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중동 진출이 또 다른 성공 신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